한미일 외교 수장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규탄하는 한편 우리 정부의 '9·19 남북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결정에 공감대를 이뤘다.
25일 외교부에 따르면 박진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上川陽子) 일본 외무상은 지난 24일 유선협의를 통해 최근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과 관련해 공동 대응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3국 외교장관은 지난 14일 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코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얼굴을 마주한 지 열흘 만에 다시 유선으로 회담에 나선 셈이다.
박 장관은 우리 정부가. 9.19 합의의 일부 조항을 효력정지 한 것과 관련해 미일 양국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우리 정부는 북한이 지난 21일 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하자 그 대응 차원에서 9·19합의 중 군사분계선(MDL) 일대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관한 제1조3항의 효력을 22일 오후 3시부로 정지했다.
블링컨 장관은 박 장관의 설명에 "북한의 지속적인 합의 위반에 대한 정당하고 절제된 대응으로 본다"고 말했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한국 측의 결정을 존중하며 필요성을 이해한다"고 했다.
박 장관은 북한 국방성이 이달 23일 9·19합의에 대한 사실상의 '파기'를 선언한 것과 관련해선 "(북한이) 합의에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며 추가 도발을 위협하고 그 책임을 우리 측에 전가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외교부에 따르면 유선협의에 나선 3국 외교장관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이라고 강력 규탄했다. 3국 외교장관은 "특히 북한의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3국 외교장관은 북한의 행태에 우려를 표명하는 한편 국제사회와의 단합된 대북 대응을 이끌어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베스트클릭
- 1[르포] 해상 표적에 시속 100㎞ 돌진…"자폭 성공" 해군의 섬뜩한 무전
- 2"자폭드론 공격 성공" 해군 첫 공개…북한은 '우크라전 드론 경험' 과시
- 3해병대 "일본 육상자위대와 첫 합동훈련? 계획 없다"
- 4국회 외통위 유용원 "이재명의 셰셰 발언, 실용외교 아닌 궤변"
- 5김정은, 북한군 '드론 훈련' 참관…"파병 '실전경험' 남침 전술로"
- 6美공화당 강경파 6선의원 "김정은 같은 독재자 있는 한 한미동맹 굳건"
- 7합참의장, 해군 잠수함사령부 등 점검…"적 도발 의지 말살시켜야"
- 8美트럼프와 회담할 새 대통령…윤석열·문재인·박근혜는 얼마나 걸렸나
- 9美사령관 "주한미군, 北격퇴만 초점 안맞춰"…대만 유사시 투입 첫 시사
- 10尹 11일, 文 51일, 朴 43일…새 대통령, 트럼프와 6월에 만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