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남=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제75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거수경례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3.09.26. |
윤 대통령은 26일 오전 서울공항에서 진행된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를 주관하고 "강한 군대만이 진정한 평화를 보장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올해 국군의 날(10월1일)이 추석 명절 연휴와 겹친 점 등을 고려해 당겨서 열렸다.
尹대통령 "공산·추종세력 '가짜 평화 속임수'에 결코 현혹되지 않을 것"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북한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나아가 핵 사용 협박을 노골적으로 가해오고 있다"며 "우리 군은 실질적인 전투 역량과 확고한 대비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이 도발해 올 경우 즉각 응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 정권은 핵무기가 자신의 안위를 지켜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며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미일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나아가 우방국들과 긴밀히 연대해 강력한 안보태세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국민은 북한의 공산세력, 그 추종세력의 가짜 평화 속임수에 결코 현혹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는 전임 문재인 정부와 집권세력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이 북한에 평화를 구걸하면서 한미연합 훈련 등을 게을리 했고 그 결과 오히려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를 도와주는 꼴이 됐다며 비판해왔다.
윤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강력한 국방력의 원천은 여기 있는 국군 장병 여러분의 투철한 군인정신과 확고한 대적관"이라며 "평소 엄정한 군기를 통해 실전과 같은 교육훈련에 매진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 |
[성남=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차량에 올라 부대를 사열하고 있다. 2023.09.26. |
또 윤 대통령은 "우리 장병들의 복무 여건과 병영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최고 수준의 전투역량을 이끌어내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저는 국군통수권자로서 적에게는 두려움을, 국민에게는 믿음을 주는 강한 군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군악대 축하공연과 모터사이클 퍼레이드, 국민응원 영상 상영, 통합합창단 축하공연 등이 준비됐다. 참여부대의 열병식과 훈·표창 수여 등도 진행됐다. 육해공군 및 해병대 특수부대로 이뤄진 합동 특공무술팀의 태권도 시범도 이뤄졌다. 오후 4시부터는 서울 숭례문부터 광화문까지 육·해·공군과 해병대 병력이 참여하는 시가행진이 펼쳐질 예정이다. 시가행진은 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 |
[성남=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제75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대통령에 대한 경례 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3.09.26. |
이어 "둘째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역대 최대 규모의 주한미군이 참가해 한미 연합방위태세의 공고함을 대내외에 보여줬다"며 "기존에는 주한미군 의장대와 군악대가 참가하는 수준이었으나 이번 행사에는 전투부대 병력과 장비도 참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대통령실은 "셋째 최신 개발장비 전시, 대규모 분열 등을 통해 세계 속의 강군으로 도약한 국군의 위용을 과시했다"며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인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L-SAM·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와 국산 차세대 소형무장헬기(LAH·Light Armed Helicopter) 등 최신 국산 개발 장비가 참여해 첨단 과학기술에 기반한 국군의 발전상과 세계 4대 방산 수출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엿볼 수 있었다"고 했다.
![]() |
[성남=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제75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사열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3.09.26. |
대통령실은 "또한 20개국에서 6·25 참전용사 및 가족 30여 명과 함께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당시 미국 측 대표였던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 국무장관의 손녀, 정전협정 서명에 참석했던 마크 웨인 클라크(Mark Wayne Clark) 유엔군 사령관의 손녀 등이 초청돼 한미동맹과 정전협정 70주년의 의미를 더했다"며 "제2연평해전, 연평도 포격전 등 북한의 무력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했던 유공 장병들이 참석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킨다는 국군의 강한 신념과 의지를 되새겼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베스트클릭
- 1넘어진 5000t급 군함 세울 '기술'이 없다…북한, 러시아에 SOS 치나
- 2한국, 尹정부 들어 단절된 러시아와 외교 재개…"양국민 보호 협의"
- 3인니가 약속 깨도 KF-21은 뜬다…1호기 최종조립 착수, 내년 공군 인도
- 4트럼프 2기 한미동맹, 선박 이어 항공기·전차 유지·보수까지 확대
- 5김정은 무릎도 꿇었는데…"5000t급 구축함 파손" 배 띄우지도 못한 북한
- 6[속보] 외교부, 러시아와 7년만에 '양국민 보호' 영사 협의
- 7"KF-21 수출에 긍정적"…1호기 최종조립 돌입, UAE는 벌써 관심
- 8도쿄·후쿠오카 여행 더 빨라진다…입국 심사장에 '한국인 전용 게이트'
- 9트럼프 2기 한미 합참의장 첫 통화…"러북 협력으로 북핵 위협 고조"
- 10북, 순항미사일 여러발 발사…신형 구축함 '구멍'에 군 기강 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