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한류팬(동호인)수가 1억7800만명 규모로 추산됐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는 외교부와 함께 전 세계 한류 현황을 담아 발간한 '2022 지구촌 한류현황'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올해 11번째로 발간된 지구촌 한류현황은 전 세계 118개국 149개 우리 재외공관에서 제공한 한류 관련 일반 현황 및 분야별 현황, 동호회 현황 및 국가별로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 이유 등을 담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 전 세계 한류팬(동호인) 수는 책자 발간이 시작된 2012년 926만명 대비 약 19배 늘었고 전 세계 한류 동호회 수는 1684개로 2012년 757개 대비 2.2배 증가했다.
![]() |
/자료=한국국제교류재단 |
전년 대비 팬덤의 규모나 점유율 면에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인 지역은 유럽이다. 509개의 동호회가 있는 유럽에는 약 1320만 명의 동호인이있다. 이는 전년 대비 37% 증가한 것이다. 향후 한류 확산을 위한 교두보는 유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인천공항=뉴스1) 권현진 기자 = 그룹 블랙핑크(BLACKPINK) 제니가 29일 유럽투어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해 차에서 내리고 있다. 2022.11.29/뉴스1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또한 세계 각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오프라인 활동을 재개하면서 오프라인 및 온오프라인 혼합형 한류 동호회 수가 전년 대비 26.8% 증가했다. 점유율로 보면 온라인을 포함한 전체 동호회 중 오프라인 및 온오프 혼합형을 합한 비율이 전년도 39%에서 43%로 증가했다.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 이유로는 △ K-pop의 중독적인 멜로디, △ 독창적인 안무 및 가사가 전달하는 메시지, △ 한국의 트렌디한 스타일, △ 한국의 경제·문화적 발전상, △ 예절과 가족을 중시하는 한국의 정서 등이 꼽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베스트클릭
- 1"늦춰야" vs "즉각 정상회담"…이재명·김문수, 트럼프 관세 대응 차이
- 2북한, 한국도 못한 '전투기 공대공미사일' 실사격…"러시아 기술 가능성"
- 3육군 장갑차, 국도 중앙분리대 올라타 50m 질주…"인명피해는 없어"
- 4북한, 판문점 JSA의 '통일각' 간판 뗐다…김정은의 '통일 지우기'
- 5군, 북한 공대공미사일에 "전력화에 상당기간 소요…부품 확보 등 문제"
- 6'가드레일 올라타 50m 질주' 육군 장갑차 사고, 민간보험 처리
- 7한국, 尹정부 들어 단절된 러시아와 외교 재개…"양국민 보호 협의"
- 8이순신함 앞 애국가 들으며 '비밀연애'…이지스함 지키는 해군 부부
- 9트럼프 2기 한미동맹, 선박 이어 항공기·전차 유지·보수까지 확대
- 10인니가 약속 깨도 KF-21은 뜬다…1호기 최종조립 착수, 내년 공군 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