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한옥 '사랑재' 옆에 중국집? 왜 하필 여기에…

[the300]

국회 의원동산 식당 조감도/자료=국회 후생복지위원회

국회에서 난데없는 '중국집' 소동이 일어났다. 국회 사무처가 국회 의원동산의 한옥 건물인 사랑재 옆에 중식당을 들이려고 한다는 의혹이 일면서다. 우리 문화를 알려야 할 상징적 장소 옆에 중국 음식점이 웬 말이냐는 게 논란의 핵심이다.

이번 일을 외부에 먼저 알린 건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국보협)였다. 국보협은 25일 성명을 내고 "국회 사무처의 책임 있는 사과와 함께 국회 사랑재 한옥 옆에 추진 중인 중식당 입점 계획을 전면 백지화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보협에 따르면 국회 사무처는 입점 업체 관련 사항을 의결하는 국회 후생복지위원회의 27일 의결을 앞두고 국보협에 사랑재 옆에 중식당을 입점시키겠다는 취지의 설명을 해왔다. 사랑재는 접견이나 식사 장소 등으로 활용된다. 식당 공사(사랑재 환경개선 사업)는 올해 9월 완공되고 식당 영업은 12월부터로 예정됐다.

후생복지위는 국회 사무차장(차관급)을 위원장으로 8명의 위원 등으로 구성된다. 위원은 사무처 관련 부서의 국·실장, 과장, 노조 관계자들과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보좌진 등이다.

국보협은 "위원장인 사무차장이 특정 방향성을 보이면 나머지 8인은 사실상 이견을 표명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후생복지위가 27일에 무슨 결정을 내릴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에서 일어나는 한국 역사 왜곡과 동북공정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높은 때에 과연 국회 한옥 옆 중식당 추진이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사안인가"라며 "한옥을 찾는 외국 귀빈들에게 중식당을 가리키며 무슨 설명을 어떻게 하고 싶은가"라고 밝혔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국회를 찾은 세계 각국의 외빈들이 연간 약 150차례 사랑재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회 사무처는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다는 입장이다. 후생복지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27일 회의에서 위원들이 토의해서 결정할 것"이라며 "노조 소속 위원 등은 사무처와 별개로 의견을 내기 때문에 미리 (중식당으로) 결정됐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애초 중식당이 제안된 것 또한 수익성을 고려했을 뿐이란 해명이다. 이 관계자는 "현재 국회 내에 위탁 운영 중인 식당들이 한식 위주"라며 "메뉴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의견을 그렇게 냈던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회 내에 위탁 운영 중인 행사지원 식당 3곳은 본관 3식당, 회관 3식당, 의정관 양식당 등으로 의정관 양식당을 제외하면 한식 업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상징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준수 국보협 회장은 "굳이 국회 내 한국 문화를 알리는 장소 옆에 중국 음식점을 입점시켜야 할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수익보다는 국민의 정서와 자존심을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