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공적연금 강화와 노후빈곤 해소를 위한 특별위원회 마지막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5.11.25/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적연금특위는 25일 마지막 전체회의를 열었지만 사회적기구와 법안심사소위원회 활동만 점검한 채 성과 없이 회의를 마쳤다.
이날 회의는 '안건 미정'인 상태로 진행돼 시작부터 '빈손 특위'를 예고했다. 여야 의원들은 성과를 내지 못한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며 비난 수위를 높였다.
특위 야당 간사인 김성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명목소득대체율 상향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지만 최소 공무원연금개혁에 따른 재정절감분 20%를 사각지대 해소에 쓴다는 것에 대한 정부·여당의 약속엔 추호의 의심도 없었다"면서 "정부·여당은 그러나 (여야) 합의를 전면 부인하고 되레 '사회적기구 논의를 (특위가) 수용해야 하는가'라며 논의 성과를 파기했다"고 맹비난했다.
법안소위에 참여했던 같은 당 남인순 의원도 "정부·여당의 반대로 아무런 성과 없이 특위가 종료되는 것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공무원들의 희생을 통한 재정절감분의 20%를 사각지대 해소에 쓰도록 뒷받침 할 법안이 단 한 건도 합의되지 않은 데 대해 개탄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윤옥 새누리당 의원은 "(정부·여당이) 합의를 깬 게 아니라 (여야가)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이라며 "(사회적기구에서) 합의된 것도 있던 만큼 검토할 부분이 많았으나 (야당이) 일방적으로 법안소위 회의를 파기했다"며 책임을 야당으로 넘겼다.
같은 당 함진규 의원도 "공적연금 강화와 노후빈곤 해소 문제는 야당뿐 아니라 정부·여당도 똑같이 중점 사항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며 "그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하지 않고 명목소득대체율 상승만 말하는 건 맞지 않다"고 동조했다.
당초 특위는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릴지 여부와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재정절감분의 20%를 공적연금 사각지대에 사용할 사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명목소득대체율 인상은 아예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고 공무원연금개혁의 재정절감분 사용처 또한 확정짓지 못했다.
공무원연금 개혁의 재정절감분 20%의 경우 야당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정부·여당은 "흑자가 늘어나는 게 아니라 적자가 줄어드는 것"이라며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성과 없이 활동이 끝난 특위는 법안들을 복지위로 회부해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위 여당 간사인 강석훈 새누리당 의원은 "특위가 (어떤) 결론도 내지 못하고 종료되지만 후속은 복지위에서 계속 진행될 수 있을 걸로 생각한다"고 했다. 해당 법안들은 정기국회가 끝난 뒤 상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정회·속개' 반복한 공적연금특위, 두루누리·출산크레딧 확대 불발(종합)2015.11.20 21:01
- 군복무크레딧 대상자 확대 "전환복무자, 사회복무요원 등 포함"2015.11.13 12:48
- [현장+]공염불에 그친 공적연금 사회적기구 "기재부도 안오는데…"2015.10.30 14:01
베스트클릭
- 1위성락 "한덕수, 통상협상은 권한 밖…민감국가 지정 해제 노력을"
- 2'이재명 대세' 확인될까…민주당, 오늘 충청서 첫 경선
- 3트럼프를 상대할 최고의 차기 대통령
- 4'내란' 프레임 덮은 '경제 대통령론'...심상찮은 한덕수 돌풍, 왜?
- 5홍준표·김문수·한동훈+'한자리'…주말 경선토론 '결판'
- 6'1조 먹튀 논란' 인니에 당했지만…'K방산 큰손' UAE, KF-21 도입 관심
- 7美, '한국 민감국가 지정' 결국 발효…"국장급 실무협의 계속"
- 8'달 착륙' 아르테미스 임무에 韓참여 확대…한미 워싱턴서 우주대화
- 9홍준표 "尹, 평생 검사만 해 정치력 없어…이준석 품어야 이재명 이겨"[인터뷰]
- 10트럼프, 재외공관도 축소 '칼바람'…"부산영사관 폐쇄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