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해 12월 3일 김일성 전 국가주석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과거 사진을 게재했다./사진=노동신문 |
아프리카 우간다 대통령이 북한의 최고상인 국제 김일성상 수상을 거부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는 7일 "북한은 지난 해 10월 아프리카에서 독자적 개발을 통해 국가 평화와 번영을 이뤘다는 명목으로 아프리카 우간다의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을 국제김일성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국제김일성상'은 북한 당국이 김일성 주석을 국제적 지도자로 부각시키기 위해 지난 1993년에 제정했다.
우간다 정부는 이 사실을 외교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지난 4월 시상식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수상자 선정 이후 1년이 다 되도록 무세베니 대통령의 국제김일성상 시상식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아프리카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우간다 정부는 수상자 선정 한달만인 지난 해 11월 수상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북한 당국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지난 2일 아프리카 튀니지의 아랍어 일간지인 알마그레브지(Al Maghreb)는 명경철 주우간다 북한대사가 계속해서 수상을 독려하고 있지만 우간다 대통령 측이 계속해서 거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명경철 대사는 우간다 외교부에 "국제김일성상이 별로 중요하지 않고 가치가 없는 것이니 부담을 갖지 말고 받도록 해 달라"고 수차례 설득을 시도했다고 폭로했다.
RFA는 "결국 명 대사가 우간다 대통령에게 국제김일성상을 받아 달라고 구걸하다시피 했다"며 "국제김일성상 수상이 무한한 영광이라고 홍보해야 할 대사가 본국이 수상하는 상의 권위를 깎아 내리는 발언을 했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하기 힘들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아프리카 외교가에서는 북한과의 밀접한 교류가 널리 알려질 경우 국제사회로부터 받게 될 불이익을 우간다 대통령과 정부측이 의식한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고 RFA는 보도했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는 7일 "북한은 지난 해 10월 아프리카에서 독자적 개발을 통해 국가 평화와 번영을 이뤘다는 명목으로 아프리카 우간다의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을 국제김일성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국제김일성상'은 북한 당국이 김일성 주석을 국제적 지도자로 부각시키기 위해 지난 1993년에 제정했다.
우간다 정부는 이 사실을 외교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지난 4월 시상식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수상자 선정 이후 1년이 다 되도록 무세베니 대통령의 국제김일성상 시상식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아프리카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우간다 정부는 수상자 선정 한달만인 지난 해 11월 수상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북한 당국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지난 2일 아프리카 튀니지의 아랍어 일간지인 알마그레브지(Al Maghreb)는 명경철 주우간다 북한대사가 계속해서 수상을 독려하고 있지만 우간다 대통령 측이 계속해서 거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명경철 대사는 우간다 외교부에 "국제김일성상이 별로 중요하지 않고 가치가 없는 것이니 부담을 갖지 말고 받도록 해 달라"고 수차례 설득을 시도했다고 폭로했다.
RFA는 "결국 명 대사가 우간다 대통령에게 국제김일성상을 받아 달라고 구걸하다시피 했다"며 "국제김일성상 수상이 무한한 영광이라고 홍보해야 할 대사가 본국이 수상하는 상의 권위를 깎아 내리는 발언을 했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하기 힘들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아프리카 외교가에서는 북한과의 밀접한 교류가 널리 알려질 경우 국제사회로부터 받게 될 불이익을 우간다 대통령과 정부측이 의식한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고 RFA는 보도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베스트클릭
- 1[단독]尹대선 도운 이영수 새미준 회장, 홍준표 지원..."洪이 가장 유력"
- 2'보수 1위' 김문수의 핵심 참모는 누구?…현직 의원 윤곽도 곧 나올듯
- 3[기자수첩] 87 헌법, 오래돼서 바꾸자는 게 아니다
- 4김경수 "정부의 10조 추경, 언발에 오줌누기…최소 30조원 필요"
- 5대통령 없는 대비태세 떠봤나…북한군 10여명, 휴전선 침투 후 퇴각
- 6"괴뢰한국, 尹 파면시켜"…북한군, 접적지역에 1500여명 작업 투입
- 7무장한 북한군 10여명, 휴전선 기습 침투…군 경고사격 받고 퇴각
- 8'8조원 구축함' HD현대·한화, 공동설계 입장차…방사청 중재 '안간힘'
- 9"조용한 경선"…또 다시 '어대명' 이재명, 경선 필수 전략은
- 10'1460조 시장' 함께 가자더니…HD현대-한화, '8조' 사업서 기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