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음진동패해예방시민모임 회원들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살인을 부르는 층간소음 관련 참사에 대한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이날 참가자들은 "정부와 자자체는 층간소음 전수조사 실시 및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 사진=뉴스1 |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층간소음 민원이 2년 사이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원을 처리에 대한 만족도는 운영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저조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자스민 의원은 18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국감에서 "최근 4년간 층간소음 민원이 4만7383건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층간소음 민원 현황' 자료를 통해 층간소음 급증 현황을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층간소음 민원은 2012년 7021건에서 2013년 1만5455건, 지난해 1만6370건으로 불어났다.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8537건이 접수됐다.
처리 결과에 대한 민원인의 만족도 점수는 2013년 47.3점, 지난해 50.3점에 그쳤다.
이 의원은 층간소음 민원 관련 운영 인력의 부족이 저조한 민원 만족도를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층간소음 운영 인력은 한국환경공단 31명, 한국기술사회에서 9명으로 총 40명이 있으며, 공단인력 가운데 정규직은 단 3명이었다.
운영 인력 한 명 당 연 100여건 이상의 현장진단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자스민 의원은 "소음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인력 증강과 예산 증액 등의 조치를 해야 하며 국회에서도 실효성 있는 법제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정애 새정치민주연합의원은 환경공단과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의 층간소음 분쟁 해결을 위한 협력을 주문했다. 한 의원은 "층간소음 무료 측정이 연간 150건 정도로 상당히 부족해 국민들은 불편한 상황"이라며 "위원회와 공단, 두 개 공단이 논의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베스트클릭
- 1[단독]한덕수측, 이낙연 연대에 정세균 영입 시도…호남 표심 겨냥
- 2정부 "북한 전쟁포로, 한국행 희망시 전원 수용…北 파병 인정과 무관"
- 3한덕수, 재외공관장 9명 인사 단행…尹이 내정한 김대기·방문규 제외
- 4대통령 탑승헬기 4대, 8700억원에 해외서 구매 추진
- 5국방부, '북한의 러시아 파병 인정'에 "범죄 행위 자인한 것"
- 6정부 "북한군, 러시아 파병이 국제법 부합?…국제사회 우롱"
- 7이낙연, 6·3 조기대선 출마 준비···새미래 "진짜 민주당 재건"
- 8軍 업무폰·비화폰도 SKT인데…국방부, 유심 교체 검토
- 9유출 데이터 270만 쪽…국정원, 정부 전 부처에 'SKT 유심 교체' 권고
- 10김정은, 서해 NLL 도발 명분 쌓자…합참의장, 연평도·백령도 부대 점검